사전등록 | 11:00 |
학회 사전회의 및 점심 | 12:00 |
개회 | 13:00 |
개회사 | 백종오(고조선단군학회장, 한국교통대학교 교수) | 13:00 |
환영사 | 정호섭(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장) | 13:10 ~13:20 |
1부 회고와 전망 | “고조선단군학회의 발자취 25년, 그 회고와 전망” 사회: 현남주(한국문화유산연구원) | 13:20 ~13:40 |
학회연혁 소개 | 조법종(고조선단군학회 부회장/우석대학교 교수) |
기조 강연 | 고조선단군학회 창립 25주년의 회고와 전망 연사: 김정배(고조선단군학회 초대회장) | 13:40 ~14:10 |
휴식 및 장내 정리 | 14:10 ~14:20 |
2부 주제발표 | “동북아시아 청동기시대 고지성 취락의 현황과 양상” 사회: 황보경(세종대학교박물관) | 14:20 |
제1발표 | 한국 고지성 취락의 현황과 성격∥발표: 김선우(한국과학기술원) -중서부지역 제의 유구와 의례 양상을 중심으로- | 14:20 ~14:40 |
제2발표 | 한국의 고지성 취락 형성과 전개 양상∥발표: 강동석(동국대학교) | 14:40 ~15:00 |
제3발표 | 중국의 고지성 취락 형성과 전개 양상∥발표: 이유표(동북아역사재단) -중원지역 二里頭·殷商 시대 유적을 중심으로- | 15:00 ~15:20 |
제4발표 | 장성 이북지역 고지성 취락 형성과 전개 양상∥발표: 강승우(인하대학교) -하가점하층문화를 중심으로- | 15:20 ~15:40 |
제5발표 | 일본의 고지성 취락 형성과 전개 양상∥발표: 모리오카 히데토 (森岡秀人, 일본 고대학연구회) | 15:40 ~16:00 |
제6발표 | 한국의 고지성 취락의 구조와 정체성∥발표: 홍주희(강원고고문화연구원) | 16:00 ~16:20 |
휴식 및 장내 정리 | 16:20 ~16:30 |
3부 종합토론 |
|
3부 종합토론 | 좌장: 지현병(전 강원고고학회장, 강원고고문화연구원 원장) 토론 : 김규정(전북문화재연구원), 천선행(조선대학교), 최호현(대전대학교), 오대양(단국대학교), 히라고리 타츠야(平郡達哉, 일본 시마네현대학), 서길덕(도원문화재연구원) | 16:30 ~18:30 |
폐회 | 18:30 |